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🧾 3편 : 기초연금 vs 유족연금, 중복 수령 가능할까?

by 마장쉬 2025. 3. 29.

 

3편 : 기초연금 vs 유족연금, 중복 수령 가능할까?

연세가 있으신 부모님이나 배우자를 위해
유족연금과 기초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지
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?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
중복 수령 ‘가능’하지만 조건에 따라 감액될 수 있습니다.


✅ 기초연금이란?

 

기초연금은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% 이하 노인에게
월 최대 40만 4,000원까지 지급되는 복지성 연금입니다.
(2025년 기준)

유족연금과는 지급 목적과 재원이 달라
이론상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.


✅ 유족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점

 

항목 유족연금 기초연금

지급 목적 사망자 유족 생계 보전 고령층 기본 생활 보장
지급 주체 국민연금공단 보건복지부/지자체
조건 국민연금 납입 이력 만 65세 이상 + 소득하위 70%
중복 수령 가능 (단 감액 가능성 있음) 가능 (소득 판단 포함)

⚠️ 중복 수령 시 주의사항

  • 기초연금 소득 산정 시 유족연금이 포함될 수 있음
    → 이로 인해 기초연금이 감액되거나 제외될 수 있음
  • 특히 부부가 모두 연금 수령자일 경우,
    가구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기초연금이 감액

📌 즉, 유족연금을 받는다고 기초연금이 무조건 깎이는 건 아니지만,
유족연금이 소득으로 간주될 경우 감액될 수 있다는 점 기억하세요.


💬 실제 사례

🧓 어르신 A씨

  • 국민연금 가입자 남편 사망 → 유족연금 월 65만 원 수령
  • 현재 67세, 단독가구 → 기초연금 신청
    → 유족연금이 소득으로 일부 반영되어 기초연금 월 25만 원 수령

✅ 요약 정리

  • 기초연금과 유족연금 중복 수령 가능
  • 유족연금은 기초연금 수급 판단 시 소득으로 일부 반영
  • 감액 여부는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다름

 

👉 반드시 지자체나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여 본인 상황 확인하세요.
📲 지금 바로 확인하기 👉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
📲 내 지역 복지 확인하기 👉 보조금24 서비스 바로가기

 


 

👉 다음 글에서는
[국민연금 수령 중 사망하면 유족연금은 어떻게 되나?]
라는 주제로 이어집니다.

👉 바로 보기: 4편 보러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