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편: [유족연금과 실손보험·퇴직연금 같이 받을 수 있을까?]
💡 유족연금, 실손보험·퇴직연금과 같이 받을 수 있을까?
가족이 사망한 뒤 받게 되는 유족연금,
혹시 기존에 가입한 보험이나 퇴직연금과 함께 받을 수 있을까요?
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이 부분,
명확히 구분해드립니다.
✅ 유족연금 vs 실손보험
실손보험은 민간 보험사 상품이므로
유족연금과 무관하게 별도로 수령 가능합니다.
📌 예를 들어:
- 사망자 본인이 실손보험 보장 대상이었더라도
유족연금 수급과는 별개 - 실손보험에서 나오는 입원비, 치료비 등은 보험금으로 간주되며,
연금 소득에 포함되지 않음
✅ 결론: 유족연금 + 실손보험 → 동시 수령 가능
✅ 유족연금 vs 퇴직연금
퇴직연금은 근로계약에 따라 사망자 퇴직금이 연금으로 전환된 것입니다.
이 역시 유족연금과는 지급 재원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
중복 수령 가능합니다.
단, 아래 조건에 따라 주의가 필요합니다:
- 퇴직연금이 개인 명의로 전환되어 수령 중이라면
다른 연금(노령연금, 기초연금 등)과 합산 소득 기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음 - 국민연금공단은 퇴직연금 자체에 대해 소득 판단 기준에는 포함하지 않음,
다만 기초연금 수급 시 소득 기준에 일부 포함될 수 있음
🔍 실제 사례
👴 사례 C씨
- 남편 사망 후 유족연금 월 70만 원 수령
- 동시에 퇴직연금에서 월 50만 원 수령
- 실손보험에서 사망 보험금 일시금 2천만 원 수령
→ 모든 항목 문제 없이 중복 수령 가능
✅ 요약 정리
항목 중복 수령 여부 주의할 점
실손보험 | 가능 | 전혀 문제 없음 |
퇴직연금 | 가능 | 기초연금 감액 가능성 있음 |
유족연금 | - | 신청 필요, 중복 조정주의 |
👉 각 연금 및 보험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
유족연금은 다른 급여나 보험금 수령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습니다.
📲 더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 상담 또는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:
👉 국민연금공단 바로가기
👉 보조금24 퇴직연금 확인
👉 다음 글에서는
[2025년 달라지는 유족연금 제도, 꼭 확인하세요]
라는 주제로 마무리됩니다.
👉 바로 보기: 6편 보러가기